
유적이름 : | 청대산 유물산포지(靑垈山 遺物散布地) |
|
시대 : | 청동기 |
|
종류 : | 선사유적 |
|
주소 : | 강원도 속초시 조양동 청대리 청대산 정상 산203 |
|
자료 : | - |
유적개요 : 청대산은 현재 청대리 지역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으로 청대산 정상부에 올라서면 속초시 전지역이 조망되는 지역이다. 현재 평탄한 정상부를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부분은 등산로로 사용되고 있다. 청동기시대 무문토기편은 청대산 (해발 230m)정상부분과 현재 등산로로 이용되고 있는 동쪽 사면에서 지표채집되었다. 또한 정상 평탄면에서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어골문평기와 편 1점을 수습하였고, 주변에는 많은 수의 기와편들이 산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역사시대인 고려나 조선시대에 어떠한 시설물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나 역사적 기록이나 내용이 없어 정확한 성격은 알 수 없다. 청대산 유물산포지는 강원 영동지역에서 현재까지 알려진 청동기시대 유적이나 유물산포지 중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확인된 유적으로 정주적 주거지 역할 보다는 어떤 특수한 역할, 즉 방어용이나 전망용의 임시적인 주거형태를 취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강릉대학교 박물관, 2003. 「동해고속도로(주문진-속초간)건설사업 제 6·7공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유적개요 : 청대산은 현재 청대리 지역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으로 청대산 정상부에 올라서면 속초시 전지역이 조망되는 지역이다. 현재 평탄한 정상부를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부분은 등산로로 사용되고 있다. 청동기시대 무문토기편은 청대산 (해발 230m)정상부분과 현재 등산로로 이용되고 있는 동쪽 사면에서 지표채집되었다. 또한 정상 평탄면에서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어골문평기와 편 1점을 수습하였고, 주변에는 많은 수의 기와편들이 산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역사시대인 고려나 조선시대에 어떠한 시설물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나 역사적 기록이나 내용이 없어 정확한 성격은 알 수 없다. 청대산 유물산포지는 강원 영동지역에서 현재까지 알려진 청동기시대 유적이나 유물산포지 중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확인된 유적으로 정주적 주거지 역할 보다는 어떤 특수한 역할, 즉 방어용이나 전망용의 임시적인 주거형태를 취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강릉대학교 박물관, 2003. 「동해고속도로(주문진-속초간)건설사업 제 6·7공구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